Web2.0에 망설이는 대기업(2) – 경영자에게 부여된 과제

Web2.0 관련 과거 기사를 재확인 하려 합니다.

Web의 세계는 User에 의해 정보발신을 주로 Contents로서 활용하는 Social Media로 변모했다. 이 성향은 이후도 바뀌지 않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럼, Web2.0 현상은 대기업에게 어떠한 과제를 부여하고 있을까? 경영자에게는 어떠한 마음가짐이 필요한 것일까. (湯川抗?富士通)

고교생이 검색 Engine을 만드는 시대

1996년에 세계적으로 4500만명정도라고 했던 Internet User수는 2006년에 10억명을 넘었다고도 말해져, 증가가 정점을 넘었다. 당시의 “Read-Only Web”은 지금은 “Read-Write Web”이 되고, User 생산형 Contents(User Generated Contents:일본에서는 CGM)는 지금까지 없었던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지난 회에서 지적했던 것과 같이, Net 기업이 API를 공개하여 제공하는 Communication Tool의 진화도, 당연한 상황으로서 박차를 가하고 있다.

Web의 진화는 기업과 개인의 환경을 상당하게 좁히고 있다. 이것은 대기업이 지금까지 경험한 적이 없는 현상으로, 대기업이 진화하는 Internet 세계를 이해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창립에 필요한 Cost가 저하로 인해, 정말 간단하게 창업가능한 환경이 되어간다고 지난주에 지적했다. 이것은 개인이 기업과 같은 Service를 제공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년 미국에서 “resultr”이라고 하는 검색 Site가 공개되었다. 이 Service는 복수의 검색 Engine에 의한 검색결과를 정리해서 표시하는 “Meta Search Engine”. 어떤 검색 Engine의 검색결과를 이용하는가를 선택 해, User가 자기가 원하도록 Custormize된 검색 Engine으로 자유롭게 이름을 붙일 수 있다고 되어 있다. Google등이 공개하고 있는 API가 활용가능하게 되어 있는 지금, 이러한 Site를 작성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이 검색 Site는 당시 15세와 16세의 학생이 학교의 Project의 일부로서 제작했던 점이다. Open Source, API의 공개의 진전은 개인이 제공할 수 있는 Service의 폭을 비약적으로 넓히고 있다. 수년전만 해도, 개인이 개발하는 것이 도저히 불가능할 정도 였던 Service를 그다지 전문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User라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제, 어떤 Site를 제작, 제공하는 것이 기업인지, 개인인지를 Site의 겉모습과 Service 내용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일찍부터 지적되어 져 온 , Net에 의한 민주화

게다가, User 생산형 Contents의 증가는 “기업에 있어 필요한 지식은 어디에 있는것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작년 6월에 공개된, Wired의 편집자인 Jeff Howe씨에 의한 “The Rise of Crowdsourcing”라는 기사는 사원과 사내의 정보가 아닌, 외부의 지식을 유효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Crowdsourcing”란 그 이름대로, “wisdom of crowds” (궁중의 지혜)와 “outsourcing” (외부위탁)을 합친 합성어로, 의미도 그 합대로 이해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이 기사에서, InnoCentive라는 “연국개발과제를 안고있는 세계 일류 기업과, 그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Top Class의 과학자들”을 Internet을 통해 Matching하는 기업의 예를 소개하고 있다. 지금에 와서, 대규모 R&D는 Matching의 대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기업 경쟁력의 기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이 영역에까지 사외의 자원이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렇다고해서, 지금까지의 예상 불가능했던 획기적인 변화가 Internet Business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진술하는 현상은, Internet이 보급되기 시작했을때부터 거론시되었던 미래의 이미지가, 일부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Web2.0이라고 불리는 세계에 관해서는 1990년대후반에 쓰여진 Net의 교과서에 예언되어진 대로의 세계가 실현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예를들면, Necrophonte(? 네크로폰테)는 1995년에 저술한 “Viewing Digital”에서 “OnDemand의 확대” “개개인의 TV국”이라는 말을 놓고, Internet경유로의 개임 영상배신을 예측하고 있다. YouTube의 등장과, 영상배신 Business의 난립은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거의 교과서에는, Internet이 사회의 민주화를 촉진한다고 지적하는 부분이 많다. User 생산형 Contents의 확대는 말하자면 민주화의 과정을 밟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Web2.0이라고 하는 Catchphrase라고 거론하고 있는 것도, 이 민주화를 다양한 각도로부터 논하고 있는 것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스스로를 부정하는 용기를

대기업이, Web2.0적인 요소를 자사의 Business로 만들려고하는 것은 확실히 곤란하고, 주저해버리는 것에서 동정의 여지가 있다. 예를들면, 어제오늘이 아니게 엄격해지는 내부통제와 개인정보보호, Security의 여러면에서 생각해봐도, 대기업이 자사의 Resource를 Net상에 Open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자사의 Service를 Open화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Open화된 타사의 API를 활용하는 것으로 양다리를 걸친다는 것도 이해가능하다. Internet의 본질인 “Best Effort”라는 생각법을 Service의 기간부분에 채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대기업은 많지 않을 것이다. 특히, 대규모 기초연구기관을 포함, 고도 기술개발력에 자신을 가지고 있는 핵심 IT기업은, 현재의 Web2.0를 받치고 있는 듯한 간편한 기술자체를, 그저 바라만 보고 있는 것 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요인이상으로, 보다 본질적인 Internet Business로의 진입을 고려하는 것은, 지금까지 대기업을 받쳐 온 기업조직이, 위에서 서술했던 “민주화”의 과정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 있지 않나 싶다.

일반적으로, 대기업이 항상 반복하고 행하는 Operator는 습관이 되고, 그것은 즉 기업문화가 된다. 그리고, 이 문화적 기반을 받쳐온, 굳건한 기업내의 System 그 자체가 대기업의 강점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해 구축된 관료적 조직은, User는 뒤로하고, 일반 사원의 목소리도 상층부에 도달하기 어려운, 도를 넘어선 음폐체질을 만들어 내었다.

현재 Internet의 진화가 대기업에 부여하고 있는 것은 스스로의 본질적인 강함을 받쳐온 관료조직에 대한 도전이 아닐까.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Internet의 영향은 User뿐 만이 아닌 기업내에도 “민주화”를 가지고 오기 시작했다.

실제, SNS와 Blog에 의해 “Talk Marketing”이 주목되어 지는 것부터도 알 수 있듯이 제품과 Service의 평가는 Web상의 User의 반응에 의존을 거듭하고 있다. 대기업의 사원이 직접 Blog의 User와 대화하는 것으로 평가를 높이는 시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스로가 지금까지 써오던 평가방법이 아닌, Internet상에서 형성되어진 User에 의한 평가를 자사의 제품, Service와 인재에 대해 적용하는 것을, 지금까지의 방법으로 이제겨우 Top에 올라온 대기업의 경영자가 인정하는 것은 자기부정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숨겨두고 있다. 그들이 이 같은 변화를 받아들이고 싶지않은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대기업이라고 해도, 기존의 방법만으로 존재감을 유지하는 것도 곤란할 일일 것이다.

미News Corporation의 Ruvert Mardok 회장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MySpace 매수를 “Internet 상에서 존재감이 확대했다”라고 자기평가하고 있다. 기존 Media에 의한 Internet 기업의 매수사례는 반드시 일본의 핵심기업이 참고로 하지 않는부분도 있고, 매수라는 수단을 밟을 필요가 없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Net에서의 존재감을 표현하기에는 User의 소리를 직접 조직내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하는 경영판단이 그곳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커다란 것, 강한것이 살아 남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변화에 적응가능한 것 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Dawin의 말을 수도없이 들은 경영자는 많다라고 생각한다. 많든 적든, 경영자는 매일, 여러가지 변화에 적응하면서 실력을 쌓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Internet Business는 대기업의 경영자가 지금까지 최대의 신뢰를 불러 왔던 조직의 그 자체를 부정하지 않을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Web2.0이라고하는 Catchphrase가 주목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대변화로의 기대도 있을 것이다.

대기업이라고 해도, 사원의 의식은 Top이 상상하는 것이상으로,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진화하는 Internet 시대, 대기업의 Top의 용기를 가진 결단을 재촉하고 있다.

<※ “Web2.0에 망설이는 대기업”은 3회연재입니다. 연재일 : 2007년 2월 21일>

위 글은 아래의 기사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다소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의 글이니 현재와 다를 수 있습니다.

http://it.nikkei.co.jp/internet/news/index.aspx?n=MMITbe000021022007

Leave a comment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